“롯데, 드디어 100억 FA 참전? 김태형 감독 3년차에 ‘박찬호·강백호’ 영입설 급부상”
작성자 정보
- 플러스기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08 조회
- 목록
본문
100억 FA설이 난무하는 현재, 롯데가 다시 큰 손으로 나설 수 있을까.
김태형 롯데 자이언츠 감독은 부임 2년차까지 특별한 ‘취임 선물’을 받아보지 못했다. 프리에이전트(FA) 시장에서 외부 영입은 전무했다.
취임 첫 해인 2023년 스프링캠프 직전, 사인 앤 트레이드로 내야수 김민성과 2+1년 총액 9억원에 계약한 게 전부였다. 전준우(4년 최대 47억원), 김원중(4년 최대 54억원), 구승민(2+2년 총액 21억원) 등 내부 FA 잔류에 주력했다. 대신 안치홍이 시즌 종료 후 한화와 4+2년 최대 72억원에 계약하며 롯데를 떠났다.
FA 영입이 없었던 2년, 샐러리캡의 벽
결과적으로 김태형 감독 취임 이후 롯데는 한 번도 고액 FA 영입을 하지 못했다. 경쟁균형세(샐러리캡)가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지난해 롯데의 총액은 상한선 114억 2638만원에 불과 2억 7620만원 모자란 111억 5018만원이었다.
2022시즌 이후 유강남(4년 80억원), 노진혁(4년 50억원), 한현희(3+1년 40억원)을 영입하면서 이미 샐러리캡이 꽉 찼다. 문제는 이들의 활약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이다.
2025년에는 샐러리캡이 137억으로 상향됐지만 여전히 여유는 많지 않다. 기존 계약자들의 연봉 부담이 크고, ‘윤고나황손’(윤동희·고승민·나승엽·황성빈·손호영)의 성장으로 인한 연봉 인상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26년, 롯데의 투자 여력 회복 조짐
2026년 샐러리캡은 143억 원대로 재상향된다. 게다가 ‘7년 이상 소속 선수 1명 제외 규정’이 도입돼 롯데의 숨통이 트이게 됐다. 이제 롯데는 다시 한 번 과감한 투자를 시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과거 유강남·노진혁·한현희에게 총 170억 원을 투자했던 롯데의 성향을 고려하면, 올겨울 FA 시장에서도 ‘지갑을 여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롯데의 타깃 — 박찬호와 강백호
현재 FA 최대어로 꼽히는 선수는 박찬호(KIA)와 강백호(KT)다. 두 선수 모두 롯데가 주목할 만한 이유가 충분하다.
롯데는 전통적으로 유격수 자리가 약했다. 올해 전민재, 이호준 등이 분투했지만 수비 불안과 체력 문제로 아쉬움을 남겼다. 박찬호는 이 포지션의 완벽한 해답이 될 수 있다.
박찬호는 최근 3시즌 연속 수비 이닝 1000이닝 이상을 소화했고, 실책도 매우 적다. 공격에서도 유격수로는 드물게 3할 타율과 OPS .730대의 생산성을 유지했다. 올해 성적은 124경기 타율 0.287, 5홈런, 42타점, 27도루, OPS .722였다. 이미 심우준(4년 50억원)보다 상위급 대우가 예상된다.
강백호는 롯데의 장타력 부족을 해결할 카드다. 지난해 26홈런, 96타점을 기록했고 올해도 15홈런, 61타점을 올렸다. 롯데가 유일하게 세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지 못한 팀이란 점을 고려하면, 강백호의 영입은 공격력 강화의 핵심 열쇠가 된다.
‘100억 시장’의 현실적 변수
문제는 금액이다. 박찬호와 강백호 모두 100억 원대 FA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희소한 유격수 자원인 박찬호의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롯데가 이를 감당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모그룹의 재정 상황도 변수다. 과거처럼 대규모 자금 지원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대호 이후 첫 100억 FA’를 탄생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올겨울, 롯데의 결단이 리그 판도를 바꾼다
롯데는 2026년부터 다시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 ‘큰 손’으로 불리던 시절처럼 시장에 강력히 개입할 가능성도 있다. 박찬호·강백호 영입전이 현실화된다면, 이는 KBO FA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결정적인 순간이 될 것이다.
스포츠중계 · 무료스포츠중계 · 스포츠무료중계 · 스포츠분석과 함께 이번 스토브리그의 모든 이슈를 지켜보자. 야구는 겨울에도 멈추지 않는다.
플러스티비 스포츠부
취재기자 플러스기자 | [ⓒ Plus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작성일: 2025-10-10 · 제공: 플러스티비 실시간 스포츠중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